일단 wsl 버전부터 확인.
$ wsl -l -v
* Ubuntu-20.04 Running 1
1이면 2로 변경해야 한다.
$ wsl --set-version Ubuntu-20.04 2
입력하고 좀 지나면 업데이트 완료됨.
그리고 도커 데스크톱 설정에서 wsl 2 사용 어쩌구 클릭 후 도커를 재시작하면 대충 적용된다
wsl 에 도커 같이 쓰려니까 메모리 점유율이 90% 이상 올라간다.
윈도우 무슨 버그라는데 고쳐질 것 같진 않아서 대충 검색해보니까 메모리 사용량을 제한해야 한다고 한다.
열려라 설정
$ notepad $env:USERPROFILE\.wslconfig
------------------------
[wsl2]
memory=6GB
swap=0
------------------------
$ wsl --shutdown // 바로 적용이 안되니 wsl을 일단 껏다 켠다.
참고로 es를 도커에서 실행시키려면 최소 6기가 이상 할당해야 무리없이 굴러 가는 것 같다.
끝.
'dev > 삽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rafana docker compose 과정에서 에러 발생 (0) | 2021.04.30 |
---|---|
sqlite to postgres migration (0) | 2021.04.29 |
WriteFileHandle: Can’t open for write without O_TRUNC on existing file without –vfs-cache-mode >= writes (0) | 2021.04.22 |
Fatal error: failed to mount FUSE fs: mount stopped before calling Init: mount failed: cgofuse: cannot find winfsp (0) | 2021.04.22 |
windows10 wsl 비밀번호 까먹었을 때 (0) | 2021.04.22 |